“6000만원을 당장 어떻게 구해요” 전세 폭락에 ‘급전’ 구하는 집주인 패닉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000만원을 당장 어떻게 구해요” 전세 폭락에 ‘급전’ 구하는 집주인 패닉

반응형
SMALL

“6000만 원을 당장 어떻게 구해요” 전세 폭락에 ‘급전’ 구하는 집주인 패닉

 

 

 

 

전세 절벽에 다음 세입자 못 구해
전셋값 수천만 원 하락에 차액 마련 분주
보증금 돌려주려 돈 꾸고 대출까지
대출 이자 대납하며 붙잡기까지
“세입자 위해서라도 퇴로 마련해 줘야”

 

 

 

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도심의 빌라들의 모습

경기도에 사는 집주인 A 씨(30)는 전세 계약 만료를 6개월 앞두고 대출을 알아보고 있다. 세입자에게 돌려줄 돈 때문이다. 현재 세입자와 계약하던 2년 전에는 전세 보증금이 2억 6000만 원이었지만, 최근 시세가 2억 원까지 떨어졌다. 다음 세입자에게 2억 원의 보증금을 받아 현재 세입자에게 돌려주더라도, 6000만 원이 부족한 상황. A 씨는 “혹시 보증금 사고가 날까 봐 미리 알아보는 중인데 가장 낮은 금리가 4.7%다. 내년에 집값이 더 떨어지면 대출금도 많아질 텐데 걱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전국적인 전셋값 하락과 거래 절벽에 집주인들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대출 금리가 6~7%까지 치솟으면서 다음 세입자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세입자가 있어도 문제다. 전셋값이 적게는 수천만 원~많게는 수억 원씩 떨어지면서 하락분을 메울 목돈을 마련해야 한다. 부랴부랴 시중은행의 전세퇴거자금 대출을 알아보지만 조건이 까다롭다. 이자 부담을 떠안고 은행문을 두드려도 돌아오는 건 ‘대출 거절’ 통보다.

 

 

 

 

 

 

 

 

 

 

 

 

 

 

‘뚝뚝’ 떨어지는 전셋값…집주인 급전 구하러 발 동동
지난 27일 서울의 부동산중개업소

최근 한국은행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보증금이 10% 하락할 경우 집주인 10명 중 1명은 금융자산 처분과 함께 대출을 통해 보증금 감소분을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현실은 더 했다. 전셋값이 수억 원씩 떨어지면서 보증금 반환 압박도 커졌다. 서울 마포구의 공인중개사 A 씨(62)는 “거래를 중개한 아파트 1곳당 1~2명 정도 돈 빌리는 집주인이 나오고 있다”며 “9억 원 하던 전셋값이 7억 원까지 떨어졌는데, 세입자들은 당장 소송을 걸겠다고 하니 집주인들이 손을 벌리느라 동분서주 중”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공인중개사 B 씨(55)는 “‘무자본 갭투자자’가 아니라도 최근 전셋값이 급락해 고민인 집주인이 많다. 전셋값을 기존보다 2000만 원씩 낮춰도 집이 안 나간다”며 “집주인 입장에서는 그런 집이 5개만 생겨도 1억 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수도권만의 문제도 아니다. 대구에서 20년 넘게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 C 씨(60대)는 “2년 전에 5억 원에 달하던 신축 아파트 전셋값이 3억 원까지 떨어졌다. 여러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돌려주러 돈을 꾸러 다닌다”며 “어렵사리 퇴거 대출을 받아도 이자가 높아서 힘들어한다. 다주택자들은 그마저도 안 돼서 여기저기 ‘급전’을 빌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집주인들이 다급하게 알아보는 대출은 전세퇴거자금대출이다. 주택을 담보로 하는 생활안정자금 대출 중 하나로, 전세금 반환에만 사용할 수 있다. 한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최근 3개월간 ‘전세퇴거자금대출’ 문의글만 400여 개가 올라왔다.

 

 

 

 

 

 

 

 

 

 

 

 

 

 

대출 이자까지 대신 내줘…집주인 ‘퇴로’ 필요

세입자를 조금이라도 더 붙잡기 위해 집주인이 세입자의 전세 대출 이자를 내주는 경우도 있다. 서울에 거주 중인 임대사업자 D 씨(48세)는 세입자의 퇴거를 20일 미루기 위해 전세 대출 이자와 관리비 100만 원가량을 대신 내주기로 했다. 전세퇴거자금대출은 등록 임대사업자라는 이유로 거절됐다. 김 씨는 “두 달 전부터 다음 세입자를 찾았지만 결국 들어오는 사람이 없다. 보증금 마련을 위해 일단 퇴거를 최대한 미룬 상황”이라며 “내년에 나가겠다는 세입자가 줄 서 있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다”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전문가들은 전세 시장이 급변한 상황에서 집주인들을 위한 퇴로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인만 부동산연구소장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보증금 반환을 위해 대출을 받겠다는 사람들까지 막을 이유는 없다”며 “임대인은 물론 임차인(세입자)을 위해서라도 정부가 대출을 풀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조주현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명예교수는 일종의 ‘브리지 파이낸싱(Bridge Financing)’을 제안했다. 경우에 따라 집주인에게 한정적·일시적으로 대출을 허용하자는 것. 조 교수는 “한꺼번에 대출을 풀어주는 것은 부동산 가격이 오르거나 투기꾼에게 돈이 흘러나갈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며 “전세 보증금 반환 목적이 확실한 경우나 전셋값 하락으로 추가 목돈 마련이 필요할 경우에는 대출 규제를 완화해줘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반응형
LIST